[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주한미군 반환공여지 개발을 “판을 바꾸는 계기”로 삼겠다며 전면적인 개발 전략을 천명했다.
김 지사는 5일 열린 도 현안 대책회의에서 “중앙정부 의존을 넘어서 경기도가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개발 가능성이 있는 반환공여지는 경기도에만 22곳, 면적은 72.4㎢(약 2193만 평)로 여의도의 25배에 달한다. 대부분 경기북부에 밀집돼 있으며, 이재명 대통령 역시 국무회의 등에서 직접 관심을 보인 사안이다.
김 지사는 회의 모두발언에서 주한미군 공여지 개발의 3대 추진 원칙으로 ▲주도성 ▲전향성 ▲지역중심을 제시했다. “중앙의존적 접근을 넘어 도가 주도해 자산을 최대한 활용하고, 군 유휴지까지 포괄하는 개발 방향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경기연구원과 함께 의정부·동두천 등 지역별 TF를 구성해 지역 특화 전략을 마련하고, 국가철도망과 연계해 전향적으로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문화·산업·생활 중심 등 지역 특성에 맞는 개발로 생활의 질을 높이자”고 했다.
도는 이달 중 김대순 행정2부지사를 단장으로 ‘경기도 미군 반환공여지 개발 TF’를 발족한다. TF는 자체 개발방안 수립, 국방부와 협력, 국회와의 입법을 포함한 종합 전략을 추진한다.
특히 도는 무상양여 특례규정 신설, 파격적 장기임대, 장기 미반환지에 대한 특별보상 입법 등 과감한 조치도 검토 중이다.
김 지사는 “이걸 어느 세월에 하겠냐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며 “경기도가 먼저, 강하게 이끌어가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