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수원시의 도시 개발이 규제 완화와 행정 절차 속도 개선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추진 국면에 들어섰다. 그동안 장기간 표류하거나 규제에 막혀 진척이 더뎠던 핵심 개발 사업들이 연이어 첫발을 떼고, 구도심 정비 역시 규제 완화 효과로 가능성이 열리면서 수원 전역에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시는 첨단 산업 기반 확충과 정주 환경 개선을 동시에 추진해 미래 성장축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먼저, 서수원 권역의 최대 숙원으로 꼽혀 온 ‘수원 R&D 사이언스파크’ 사업이 개발제한구역 해제 이후 12년 만에 본궤도에 올랐다. 35만㎡ 규모의 첨단 연구개발 클러스터 조성을 목표로 2013년 사업 계획이 수립됐지만, 대부분이 그린벨트에 포함돼 장기간 사업이 중단된 상태였다.
수원시는 2021년 국토부에 사업 신청서를 제출하며 재추진에 나섰고, 주민 설명회와 관계부처 협의를 병행한 끝에 올해 4월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이끌어내며 결정적 전환점을 마련했다.
시는 연말까지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마무리하고, 내년 중 사업구역 지정과 착공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인근 탑동 이노베이션밸리 역시 행정 절차가 마무리 수순에 들어가며 내년 착공을 앞두고 있다. 26만㎡ 규모로 조성되는 이 단지는 지식산업센터, 벤처기업집적시설, SW진흥시설 등이 집적된 첨단 복합단지로 설계됐다.
시와 수원도시공사는 서울 접근성과 인근 산업단지 연계성, 공항·항만과의 물류 경쟁력 등 입지 장점을 내세워 기업 유치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두 사업은 향후 수원이 추진하는 ‘수원 경제자유구역’ 구상의 핵심 축으로, 반도체·바이오·IT·AI 등 첨단 연구기업을 집적시키는 기반이 될 전망이다.
수원시는 지난 10월 경제자유구역추진단을 신설하며 조직적 대응에도 속도를 냈다.
전담팀 운영과 기업유치단 확대를 통해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행정 준비와 투자 유치를 병행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9.9㎢ 규모까지 구역을 확장해 자족형 경제복합도시로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한편, 구도심 정비는 규제 완화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며 사업 추진의 동력이 강화되고 있다. 수원시는 최근 재개발·재건축 후보지 30곳을 선정해 발표했다.
지난해 조례 개정으로 주민 제안 방식이 도입된 뒤 처음 실시된 공모에서 30곳이 요건을 갖춰 신청했으며, 이 중 3곳은 ‘입안제안형’ 후보지로 선정됐다.
특히 우만동과 지동 일대 등 수원화성 인근 지역은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 규제가 완화되면서 처음으로 재개발 추진이 가능해진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문화재청은 2023년 말 해당 지역의 건축행위 허용기준을 조정해 건축물 높이 제한을 해소했고, 수원시는 10여 년간 규제 완화를 지속적으로 건의하며 조정안을 끌어낸 바 있다.
오랫동안 답보 상태였던 영화동 도시재생도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영화 문화관광지구는 2024년 국가시범도시재생혁신지구로 선정되면서 20여 년 만에 사업 추진에 청신호가 켜졌다.
시는 국비와 도비 등 총 2천억 원 규모를 투입해 관광·숙박·상업 기능이 결합된 글로벌 문화관광 거점을 조성할 계획이다. 테마형 숙박시설, 로컬 브랜드숍, 탐방 거점, 공공·문화 복합시설 등이 도입될 예정이다.
이재준 수원시장은 “수원 R&D 사이언스파크와 탑동 이노베이션밸리는 미래 수원의 성장 기반을 만드는 핵심 사업”이라며 “영화 도시재생혁신지구와 재개발·재건축 사업도 신속하게 추진해 도시 전반의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