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박승원 광명시장은 24일 주간정책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기후대응.안전관리.생활행정 전 분야의 즉각적 개선을 주문하며 “부서.기관 간 협력 없이는 시민 안전도, 탄소중립도 실현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박승원 시장은 먼저 ‘2025 광명시 기후주간’ 첫 개최와 관련해 “탄소중립 목표 점검을 위한 기후 회의가 시민·기업·활동가 모두가 참여하는 구조로 확장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정부가 204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확정한 만큼 시도 이에 맞춰 정책 틀을 다시 정비해야 한다”며 전 부서 협업체계를 강조했다.
내년 COP 총회 참석 필요성도 직접 언급했다. “국제 흐름을 기관장.실무진이 현장에서 확인해야 정책이 현실적으로 바뀐다”며 관련 국장.장 참석을 지시했다.
전날 광명동굴 딸기 스마트팜 개소를 언급하며 “성급한 민간위탁보다 시가 직영으로 성공 모델을 완성한 뒤 확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3기 신도시 예정지에서 농업을 계속하고 싶은 주민에게 도시형 스마트농장 전환을 지원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광·체험·판매를 연계한 ‘지속가능 관광 자원’으로도 활용할 것을 요청했다.
박승원 시장은 주말 직접 관내를 둘러본 상황을 공유하며 “동장이 매일 동을 한 바퀴 돌면 1시간이면 충분하다. 낡은 현수막·쓰레기·불편 요소를 즉시 발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1~2년 된 현수막이 찢어진 채 방치된 것은 동행정이 현장을 돌지 않는다는 뜻”이라며 총무국에 동별 순찰체계 강화와 관리 점검을 지시했다.
최근 외부 지역 아파트 화재 사고를 언급하며 “광명시에도 필로티 구조 단지가 4~5곳 있다. 지난 화재 이후 열감지기·사이렌·방화문 설치를 지시했는데 아직 진행이 안 됐다”고 지적했다.
박승원 시장은 “예산지원·조례근거를 활용해도 좋으니 즉시 설치하도록 하라”며 “옥상 자동개폐장치 등 우선 조치가 필요한 단지는 집중 대응하라”고 강조했다.
또 “행정사무감사 지적은 곧 예산 심의에 연결된다”며 부서장들의 적극적인 설명 책임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의원과의 갈등으로 불필요한 행정력 낭비가 생기지 않도록 국장.과장이 직접 챙기고, 논리적 설명과 소통으로 신뢰를 얻으라”고 말했다.
박승원 시장은 “개별 활동 중심에서 벗어나 집단적 탄소중립 실천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며 기후 의병 활동 체계화를 주문했다.
또한 “자원순환공사 설립 검토, 민간 건축물 에너지등급 관리 확대, 재활용 수거체계 개선 등 전문가 제안을 다음 주까지 정리해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