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0 (금)

  • 흐림동두천 25.4℃
  • 흐림강릉 27.3℃
  • 흐림서울 27.2℃
  • 대전 24.8℃
  • 대구 26.7℃
  • 흐림울산 29.3℃
  • 광주 26.3℃
  • 흐림부산 29.7℃
  • 흐림고창 26.9℃
  • 제주 27.1℃
  • 흐림강화 26.4℃
  • 흐림보은 25.3℃
  • 흐림금산 25.2℃
  • 흐림강진군 25.7℃
  • 흐림경주시 27.9℃
  • 흐림거제 29.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교육

경기지역 초등 저학년 기초학력 미달 비율 6.5%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교육연구원(원장 박정일)은 점차 심화되고 있는 기초학력 저하 문제를 지적하고 이를 조기에 예방하기 위한 초등 저학년 조기 지원에 대한 요구, 새로운 학력에 따른 기초학력 재개념화에 대한 필요성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의해 「‘새로운 학력’에 기반한 기초학력 보장방안: 초등 저학년 조기개입을 중심으로」(연구책임자 김자영 연구위원)를 발간했다.
 
이 연구에서 상정한 기초학력은 새로운 학력에 기반한 기초학력으로 기존의 읽기, 쓰기, 셈하기 중심의 개념에서 사회.정서적 역량까지 확대된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초등 저학년의 새로운 학력에 기반한 기초학력 수준 및 교육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 경기기초학력종단연구 1차 연도 데이터를 활용했다. 분석결과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6.5%이며 성별, 지역별 격차가 나타났다.

문식력의 경우 중소도시에서의 미달 비율이 4.0%인 반면 읍면지역은 7.9%로 나타났으며, 남학생 미달비율은 6.3%, 여학생 미달비율은 3.4%로 나타나 기초 문식력에서 지역별, 성별 격차가 확인되었다. 기초 수리력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관측되었고, 사회?정서적 역량 수준을 조사한 결과 대인관계 및 공동체 역량 보다 자기관리 역량의 자기 주체성(자신감을 가지고 주체적으로 노력하고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지키는 능력)에서 기초학력 도달 집단과 미달 집단의 점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5점 척도에서 도달:4.4점, 미달: 2.7점)
 
기초학력에 대한 학교교육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학교에서 학습 지원 대상 학생에게 상담 및 생활 지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으며(73.9%),주로 담임교사(55.3%)나 외부 강사(24.7%)에 의해 운영되고 있었다. 또한 학습지원 대상학생을 위하여 학생의 정서적 상담 활동 지원(76.8%), 수업 외 학생 교과 지도 프로그램 운영(97.1%), 보호자와의 상담프로그램 운영 지원(56.5%), 학생학습지도를 위한 교재 및 교구 지원(91.3%)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에게 지도가 어려운 기초학력 영역이 무엇인지 조사한 결과 문해력 지도 어렵다고 응답한 비율이 49.2%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정서 및 행동 지도 32.5%, 수리력 지도 14.3%로 나타났다. 또한 기초학력에서 문해력과 수리력 지도에 대해 전문성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0.6%인 반면 사회정서 역량 지도에 대해 전문성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7.1%에 그쳤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책임자인 김자영 연구위원과 공동연구진은 새로운 학력에 기반한 기초학력 보장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새로운 학력에 기반한 기초학력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기초학력지원대상 학생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기초학력 개념을 삶을 살아가는데 기초가 되는 역량으로 읽기, 쓰기, 셈하기뿐만 아니라 사회?정서적인 역량을 포괄하여 개념화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기반으로 기초학력지원 대상학생을 사회?정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까지 확대하고 인지적, 사회?정서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기초학력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체계적인 기초학력 선별, 진단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교사가 학생의 부진 영역을 세밀하고 촘촘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진단 시스템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또한 교사가 수시로 기초학력 진단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진단 결과를 학습 지도에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셋째, 진단과 연계한 기초 문식력, 수리력의 단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초학력 지원은 전체 학생을 위한 기초학력 부진 예방 지도 차원에서부터 맞춤형 개별 지도 차원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즉 진단 결과와 연계하여 기초 문식력과 수리력에서 단계적 지원을 위한 학생 유형을 파악하여 각 유형에 적합한 지원 방식을 명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정서적 역량 지원 강화를 위해 교사의 사회.정서적 역량 지도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원연수 및 교육 제공, 지도 방법 및 매뉴얼 보급이 필요하며, 인지, 학습 역량, 정서, 심리 통합적 지원을 위한 정책적인 제도와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지원 활성화를 위해서 교사들이 손쉽고 편하게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며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인터넷 환경을 정비하고 모든 학년에 디지털 기기 보급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외부 지원인력에 의존하지 않는 내실있는 기초학력 지원을 위한 협력체제 구축을 위하여 3단계 학습안전망 시스템을 총괄 지휘할 수 있는 수업 내, 학교 내, 학교 밖 컨트롤타워를 구성이 필요하다. 즉 컨트롤타워의 구성과 역할, 협력체계를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