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박승원 광명시장이 “지방정부가 강력하고 일관된 지속가능 정책을 추진하려면 중앙정부와 전문가의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승원 시장은 23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25 제16회 아시아미래포럼’ 지방정부 세션 패널로 참석해 “지속가능한 지방행정은 지역이 스스로 성장하는 힘을 만드는 것”이라며 “중앙정부가 정책 기반을 조성해 지방정부의 실행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광명시는 지역 공동체의 힘을 중심에 두고 자치분권, 평생학습, 기후위기 대응, 자원순환, 사회적경제, 정원도시 등 6대 지속가능 핵심가치를 실천하고 있다”며 “시민이 주체가 되는 도시를 만드는 것이 진정한 지속가능성의 출발점”이라고 밝혔다.
광명시는 모든 동에 주민자치회를 구성하고 시민공론장, 500인 원탁토론회 등 시민참여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또한 ‘자치대학’을 통해 지속가능 도시 가치를 배우는 시민 활동가를 양성하고, 시민이 정책 실천에 참여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기후대응 분야에서는 시민참여형 탄소중립정책을 확대하며, 자원순환 체계를 강화해 전국 지방정부의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아울러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을 육성해 지역 내 순환경제 기반을 마련하고, 시민정원사와 함께 도시 정원 조성 사업을 추진해 도시 품격을 높이고 있다.
박승원 시장은 “광명시는 환경·경제·사회 전 영역에서 일관된 지속가능 정책을 추진해 대외적으로도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며 “앞으로도 시민과 함께 멈추지 않고 강력한 지속가능 도시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의 ‘2025 지역회복력 평가’에서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종합 1위, 환경 분야 1위를 차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