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0.3℃
  • 맑음강릉 11.2℃
  • 맑음서울 10.8℃
  • 맑음대전 11.9℃
  • 맑음대구 14.1℃
  • 맑음울산 10.9℃
  • 구름많음광주 11.7℃
  • 맑음부산 11.5℃
  • 구름많음고창 7.4℃
  • 구름많음제주 10.7℃
  • 맑음강화 5.2℃
  • 맑음보은 10.8℃
  • 맑음금산 11.3℃
  • 구름많음강진군 10.6℃
  • 맑음경주시 10.8℃
  • 맑음거제 11.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정치일반

성남시의회 정용한 의원, 경기형 과학고 유치 논란 정면 반박

“사실 왜곡 멈추고, 성남시민 위한 실질적 논의 필요”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성남시의회 정용한 의원(국민의힘, 정자동·금곡동·구미1동)이 경기형 과학고 유치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반박하며, 객관적 사실을 바탕으로 지역 발전을 위한 논의를 촉구했다.

 

정 의원은 13일 성남시의회 5분 발언에서 “경기형 과학고 유치는 분당 주민 다수가 원했던 일이며, 성남시가 유치에 성공했다는 것은 긍정적인 성과”라면서도, “일부에서 사실을 왜곡하며 정치적 논쟁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성남시의회 행정교육위원회에서 한 의원이 “지자체가 과학고를 만들고 유지할 수 있느냐”고 반문한 것을 두고 “용인외고가 지자체 예산으로 설립된 사례가 있다”며, 해당 발언이 명백한 허위라고 반박했다.

 

또한 “성남외고 운영비 1억5000만 원 삭감을 두고 성남시가 외고 지원을 중단한 것처럼 주장하는데, 이미 2004년부터 175억 원의 시설비와 10년간 18억 원의 운영비를 지원한 바 있다”며, 이를 특혜로 볼 수 없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성남외고의 지역인재 우선전형 30% 보장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고도 지적했다. “우선전형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정원 내 선발이 아닌 정원 외 탈락자 10명에게 입학을 허용하는 수준”이라며 “성남외고와 같은 사례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경기형 과학고 설립 과정에서 성남시가 비용을 부담해 지역인재 우선전형 30%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부 정치권이 경기형 과학고 설립 예산이 1300억 원이며, 매년 20억 원의 운영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정확한 수치가 아니다”라며 “성남외고 사례처럼 국비·도비 확보를 통해 시비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열려 있다”고 말했다.

 

또한, 교육부의 역할을 강조하며 “과학인재 양성을 위한 국가 지원이 필요하다면, 국회도 함께 나서야 한다”며 “거대 야당이 국회에서 지역 예산을 적극 확보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대장동 개발사업이 공영개발에서 민관개발로 변경되며 성남시가 아닌 교육청이 50%의 학교용지 매입 비용을 부담하게 된 점을 지적하며, “교육청 역시 대장동 개발의 피해자”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분당과학고 유치에 대한 지역 주민 찬성률(84.7%)을 왜곡된 설문이라고 주장하는 일부 시의원들을 비판하며, “2019년 특목고 폐지 찬성 여론조사 응답자 수보다 훨씬 많은 주민이 동의한 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확증편향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성남시민이 원하는 방향이라면 정치적 입장을 떠나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며, “사실 왜곡과 정치적 공방을 멈추고, 실질적인 교육 발전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