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의회 출입기자단이 발끈했다. 양우식 운영위원장이 “회기 중 의장의 개회사와 양당 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이 신문 1면에 실리지 않으면 홍보비를 제한하라”고 발언한 것이 발단이었다. 기자단은 "언론탄압"이라며 날을 세웠지만, 진짜 탄압받은 쪽은 언론이 아니다. 바로 세금을 내는 경기도민이다.
실상은 특정 언론사가 막대한 홍보 예산을 독점하며 언론 본연의 임무 대신 언론 본연의 역할보다 상업적 활동에 더 치중했다는 데 있다. 일부 기자단이 정보를 독점하며 행사와 사업을 통해 혜택을 누리는 동안 일반 매체와 인터넷 언론은 철저히 소외됐다. 명백한 언론의 갑질이다.
양 위원장의 발언은 이런 특혜와 불공정한 관행을 지적한 것이다. 그런데 기자단은 이를 "편집권 침해"라고 몰아붙이며 사퇴까지 요구했다. 갑질이 따로 없다. 이제 도민들이 묻고 있다. 도대체 누가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는가?
최근 사단법인 경기언론인협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의회는 언론사에 지급된 홍보비, 사업비, 행사비 등의 예산을 전면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협회는 특히 "특정 언론사에 편향적으로 배분된 홍보비와 정치권과 언론의 유착 의혹을 철저히 밝혀야 한다"며 강력히 비판했다.
언론의 역할은 도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권력을 감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경기도 출입기자단은 정치권과의 유착을 통해 스스로 정치 홍보 대행사로 전락했다. 이처럼 왜곡된 언론 환경에서 도민들의 신뢰는 무너지고 있다.
경기도의회는 홍보 예산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언론사 간의 특혜 구조를 철저히 개혁해야 한다. 도민의 세금이 특정 언론사의 기득권 유지를 위한 도구로 전락하는 일을 더 이상 용납해선 안 된다.
출입기자단은 이제라도 언론의 본분을 되찾고 특권과 갑질을 내려놓아야 한다. 경기도민은 더 이상 특혜와 갑질을 용납하지 않는다. 도의회와 언론은 반성하고, 개혁하라. 진정한 언론의 자유는 공정성과 투명성에서 출발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