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유석주 기자] 화성특례시가 ‘화성형 기본사회’ 구축을 본격화한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26일 제239회 본회의에서 “기본사회 구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강한 추진 의지를 밝혔다.
기존 균형발전과 지속가능발전팀을 ‘기본사회팀’으로 개편하고, 정책 추진을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겼다.
정 시장은 기존 사회복지 정책이 특정 계층에 집중됐던 한계를 보완하고, 모든 시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보편적 복지를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기본소득 개념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안전망을 마련하고, 노인·청년 지원, 인구정책, 기후위기 대응 등 시급한 과제를 우선 추진할 방침이다.
정 시장은 “화성형 기본사회는 단순한 복지정책이 아니라, 시민 모두가 안정적인 삶을 누릴 수 있는 새로운 사회 모델”이라며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기본사회 정책 실현을 위해 총 3220억 원을 투입해 신혼부부와 소상공인 금융지원 등 37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특히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지역화폐 사업은 당초 목표인 5000억 원 중 1233억 원을 이미 발행하며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 외에도 주거 안정, 돌봄 서비스 확대, 사회적 연대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단계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정책 추진 성과를 인정받아 화성특례시는 2월 10일 열린 지방자치대상 시상식에서 기본사회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정 시장은 “화성특례시는 모든 시민이 차별 없이 보편적 복지를 누릴 수 있는 도시로 나아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시민과 소통하며 지속 가능한 기본사회 모델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