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광명시가 추진 중인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 사업이 2033년 준공을 목표로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9일 정책브리핑을 통해, 정밀안전진단 승인 전 선제적으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해 사업 기반을 조기에 마련하고 정비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재건축 대상은 철산주공 12~13단지와 하안주공 1~12단지 중 13단지를 제외한 총 14개 단지다. 기존 2만6518세대는 재건축 완료 시 약 3만2천 세대로 늘어나며, 수용 인구는 약 7만9천 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재건축 절차는 ▲2025년 정비구역 지정 ▲2027년 사업시행인가 ▲2028년 관리처분인가 ▲2030년 착공을 거쳐 ▲2033년 준공을 목표로 진행된다.
광명시는 2023년 3월 철산·하안택지지구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해 재건축 사업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했다. 해당 지역은 대부분 15층 중층 아파트로, 평균 용적률이 168%에 달해 사업성이 낮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시는 ▲통합개발 유도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확대 ▲기반시설 확보 등의 내용을 지구단위계획에 반영했다.
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해 하안주공1·2, 3·4, 6·7, 10·11단지 등 8개 단지를 네 개의 특별계획구역으로 묶어 통합개발을 유도했다. 물리적으로 인접한 단지 간 기반시설 연계성을 높이고 설계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또한, 현재 제2종 일반주거지역을 제3종으로 상향할 수 있도록 계획해 기준용적률을 220%, 허용용적률을 250%, 공공기여 시 최대 280%, 장수명주택 및 공공임대 포함 시 최대 330%까지 확대 가능하도록 했다.
도로, 공원, 학교 등 기반시설과 함께 행정복지센터, 문화·체육시설 등 시민 편의시설 용지도 지구단위계획에 반영됐다. 개발이익의 14.8%를 공공기여로 환수해 생활 인프라를 확충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건축물의 높이와 배치를 유연하게 설계해 획일적인 스카이라인을 피하고 조망권을 고려한 도심 경관 형성에도 중점을 뒀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철산·하안 재건축 사업은 노후 주거지 개선뿐 아니라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핵심 정책”이라며 “주민 갈등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인 행정·재정 지원으로 원활한 추진을 이끌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