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21.5℃
  • 맑음강릉 24.6℃
  • 맑음서울 19.2℃
  • 맑음대전 23.3℃
  • 맑음대구 23.7℃
  • 맑음울산 19.0℃
  • 맑음광주 23.5℃
  • 맑음부산 17.9℃
  • 맑음고창 20.9℃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4.7℃
  • 맑음보은 21.4℃
  • 맑음금산 21.3℃
  • 맑음강진군 22.4℃
  • 맑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17.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기획특집

[데스크칼럼] 254억 원짜리 체육대회, 오산시가 진정으로 나아가야 할 길은?

‘체육도시’라는 미명 하에 시민을 우롱하는 전시행정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이권재 오산시장이 자랑스레 발표한 ‘2027~2028년 경기도종합체육대회’ 유치 소식. 시는 이를 “시 승격 38년 만의 쾌거”라며 “인구 50만 시대를 향한 오산의 가치를 높일 기회”라고 포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대회가 과연 시민들에게 어떤 실질적인 혜택을 줄 수 있는지, 그리고 오산의 미래 발전을 위한 투자로서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시민의 세금을 쏟아부은 ‘선거용 쇼’

 

이번 대회 유치에 사용될 예산은 총 254억 원에 달한다. 이 돈이 과연 오산 시민들의 삶을 향상시키고, 지역 경제에 실질적인 이익을 줄 수 있을지 의문이다. 254억 원이면 오산시민 25만 명에게 각 10만 원씩 생활 안정 자금을 지급할 수 있다.

 

그러나 시는 이 돈을 체육대회를 위한 ‘한시적 이벤트’에 쏟아붓고 있다. 이 예산은 시민 복지, 청년 주거, 노인 복지, 지역 상권 지원 등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사업으로 쓰이기보다는, 일회성 이벤트로 소비되고 있다. 이는 선거를 앞두고 시장의 정치적 이력을 쌓기 위한 쇼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체육도시로서의 미흡한 준비

 

오산시가 경기도종합체육대회를 치를 만한 도시 인프라를 갖추었는가? 오산종합운동장은 천연잔디가 없는 작은 운동장에 불과하고, 숙박 시설도 턱없이 부족하다. 시는 심지어 학교 운동장을 대회장으로 활용하겠다고 한다.

 

이는 시민들의 교육권과 체육권을 침해하는 발상이다. 대회 유치로 인한 교통 체증과 숙박 부족 등 시민들의 불편이 불가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회 개최를 위해 시민의 불편을 감수하고 예산을 집중하는 이 행정이 과연 올바른 선택일까?

 

정책의 일관성 결여

 

이권재 시장은 종합운동장을 철거하고 50층짜리 유통 랜드마크를 세운다는 공약을 내걸었으나, 대회 유치를 위해 다시 운동장을 수리하겠다고 했다. 이는 행정의 일관성 부족을 드러낸다.

 

시장이 단기적인 정치적 이득을 추구하는 데에만 몰두하고, 오산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계획은 부재한 상황이다. 철거와 수리라는 두 가지 상반된 입장을 내세우며, 시정의 방향을 전혀 확립하지 못하고 있다.

 

시민 복지보다 정치적 이벤트가 우선인 현실

 

이번 체육대회 유치가 ‘체육도시’로서 오산을 이끌어가겠다는 야심찬 계획의 일환이라면, 그 방향은 분명히 잘못된 것이다. 시의 재정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고, 실제로 체육시설 정비와 대회 준비를 위해 많은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회성 이벤트는 장기적으로 지역 발전에 기여하지 않는다. 오산시민들의 복지나 주거 환경, 교육 등에 쓰여야 할 예산이 체육대회 준비에 빠져나가면서, 실질적으로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예산은 줄어들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마주하면서, 시민들은 과연 이 대회가 진정으로 오산의 발전을 위한 행사라고 믿을 수 있을까?

 

도시 발전을 위한 진정한 전략은 무엇인가?

 

경기도종합체육대회의 유치는 일시적인 정치적 성공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오산이 ‘체육도시’로서 지속 가능하고 발전적인 방향을 나아가려면, 체육 대회를 비롯한 전시행정에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

 

시민들의 삶을 향상시키고, 경제적, 사회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진정한 도시 발전의 핵심이다.

 

오산시는 이제 체육대회 유치에서 벗어나, 실질적이고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시민을 위한 진정한 발전을 추구해야 할 때다.

 

254억 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이 ‘선거용 쇼’로 소비되지 않도록 시민들의 감시와 목소리가 필요하다.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