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는 고령화 심화로 치매환자 수가 급증하는 가운데 도내 46개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예방부터 진단, 가족 돌봄까지 전 주기적 지원 체계를 본격 가동하고 있다.
2025년 국내 치매환자 수는 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75세 이상 고령층에서 치매 유병률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도는 광역치매센터 1곳과 46개 시·군 치매안심센터를 중심으로 800여 명의 전문 인력을 배치해 도민 누구나 무료로 치매 선별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선별검사 결과 인지 저하가 의심되는 경우, 협력 병원을 통해 정밀 진단 및 감별검사를 받을 수 있으며, 검사비 일부도 지원한다.
특히 2025년부터는 감별검사비 지원의 소득 제한을 폐지해 더 많은 도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했다.
치매 진단을 받은 환자와 가족에겐 연 최대 36만 원의 치료관리비가 지급되며, 기저귀 등 조호물품, 인지 자극을 위한 쉼터 운영, 가족 교실과 힐링 프로그램 등 다양한 지원이 이어진다.
치매환자뿐만 아니라 치매 고위험군과 일반 도민을 위한 예방교육과 인식개선 프로그램도 상시 운영 중이다.
특히 경기도는 2025년 특화사업으로 ‘치매가족돌봄 안심휴가제’를 도입했다.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이 연 10일 이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최대 30만 원까지 돌봄이나 단기 입원 비용을 지원한다.
또한 치매 치료비 지원 대상의 소득 기준도 기존 중위소득 120% 이하에서 140% 이하로 확대해 정책 수혜 범위를 넓혔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치매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과 사회 전체의 과제”라며 “치매안심센터를 중심으로 치매에 대한 두려움 없이 누구나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경기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도는 앞으로도 치매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의료·복지·심리 지원을 통합한 촘촘한 돌봄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치매 관련 상담은 가까운 치매안심센터나 치매상담콜센터에서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