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광명시(시장 박승원)는 24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정책브리핑을 열고 ‘시민 중심 기후적응사회 광명’을 비전으로 제시하며, 광명형 탄소중립 정책의 주요 성과와 향후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광명시는 기후 위기를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닌 도시 전반에 걸친 사회적 과제로 인식하고, 정책·경제·교육·복지·도시계획 등 모든 영역에서 기후 변화를 고려하는 ‘기후적응사회’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한 제도적 기반으로 광명시는 2018년 전국 지방정부 최초로 ‘기후에너지과’(현 탄소중립과)를 신설했으며, 2020년에는 수도권 최초의 ‘탄소중립센터’를 개소해 정책 추진 기반을 마련했다. 2023년 7월에는 ‘2050 탄소중립도시 선포식’을 통해 6대 전략과 100대 실행과제를 발표했으며, 같은 해 11월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 운영 조례를 제정하고, 2024년과 2025년 회계연도 예산서에 반영함으로써 전국 최초로 탄소중립 예산제도를 실현했다.
광명시는 2030년까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134만 톤의 40%에 해당하는 44만 톤 감축을 목표로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민 참여형 정책을 적극 확대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1.5℃ 기후의병’이 있다. 지구 온도 상승을 1.5℃ 이내로 제한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는 이 운동은 2021년 150명으로 시작해, 2025년 3월 현재 1만2909명의 시민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분리배출, 텀블러 사용, 소등 캠페인, 플로깅(줍킹) 등 다양한 일상 실천을 통해 총 8만 3586kg의 온실가스를 감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명시는 ‘기후의병 활동 지원 조례’를 제정 중이며, ‘탄소중립 실천 모니터링’, ‘시민 평가단’ 등 기후의병의 참여 범위를 정책 이행 전반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에너지 전환도 시민과 함께 이뤄지고 있다. 시는 2020년부터 시민협동조합과 협력해 광명동굴 주차장 등 공공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했다. 광명시민에너지협동조합은 6기, 총 609kW를 설치해 연간 770MWh를 생산하고 있으며, 광명시민전력협동조합은 8기, 총 717kW를 설치해 연간 910MWh를 생산 중이다. 발전 수익 일부는 조합원에게 배당되거나 기후대응기금으로 환원된다.
이와 함께 광명시는 전기차 및 수소차 구매 지원, 미니태양광 설치 보조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 보급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시민 인식 전환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활발히 운영 중이다. ‘광명형 넷제로 에너지카페’, 유아~고등학생 대상의 ‘BEE 에너지학교’, 시민강사 양성 프로그램 등 계층별 맞춤형 교육으로 시민들의 기후행동 실천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2025년 4월 현재 총 27명의 시민강사가 활동 중이다.
올해 광명시는 ‘기후주간’을 통해 국내외 탄소중립 인식 확산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와 행사를 선보일 예정이다. 정책 포럼, 시민 참여 프로그램, 기후 뮤지컬·영화제 등 문화행사로 구성된 이번 기후주간은 기후행동에 대한 시민 공감대를 높이고, 광명형 탄소중립 모델을 전국에 확산시키는 계기로 삼을 계획이다.
또한 시는 10억 원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을 추진해 태양광 55곳, 태양열 3곳, 지열 1곳 등 총 59개소에 자가 소비형 설비를 지원하고, 공동주택 단지 대상으로 탄소중립 실천 우수아파트를 선정해 최대 700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할 방침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탄소중립은 기후위기 시대의 생존 과제이며, 시민의 실천 없이는 절대 불가능하다”며 “시민이 단순한 정책 수요자가 아니라, 정책의 생산자이자 동반자로 함께하는 도시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